* 리눅스/유닉스 운영체제의 파일 접근 권한 관리(chmod 관련 용어)
-대상 : u, g, o, a
u(user), g(group), o(other), a(all)
-연산자 : +, -, =
+(추가), -(제거), =(지정)
-접근 제한 : r, w, x
r(읽기), w(쓰기), x(실행)
* 메모리 배치 기법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용 공간 중에서 첫 번째 분할에 할당하는 방식
최초 적합
-가용 공간 중에서 가장 크기가 비슷한 공간을 선택하여 프로세스를 적재하는 방식
최적 적합
-프로세스의 가용 공간 중에서 가장 큰 공간에 할당하는 방식
최악 적합
* 메모리 할당 기법 – 분산 할당 기법
-가상기억장치 내의 프로세스를 일정하게 분할하여 주기억장치의 분산된 공간에 적재시킨 후 프로세스를 수행시키는 기법
페이징 기법
-가상기억장치 내의 프로세스를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고 메모리를 할당하는 기법
세그먼테이션 기법
* 교체 기법 유형
-각 페이지가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때마다 그때의 시간을 기억시켜 가장 먼저 들어와 가장 오래 있던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선입선출)
FIFO
(First In First Out)
-사용된 시간을 확인하여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선택하여 교체하는 기법. 프로그램의 지역성의 원리에 따라서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는 앞으로도 참조될 가능성이 크고, 최근에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는 앞으로도 참조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전제로 구현된 알고리즘
LRU
(Least Recently Used)
-사용된 횟수를 확인하여 참조 횟수가 가장 적은 페이지를 선택하여 교체하는 기법. 기억장치에 저장된 페이지 중에서 사용한 횟수가 가장 적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
LFU
(Least Frequently Used)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페이지 부재 횟수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
OPT
(OPTimal Replacement)
-LRU와 비슷한 알고리즘으로,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는 앞으로도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전제로, LRU에서 나타나는 시간적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 최근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페이지마다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를 사용
NUR
(Not Used Recently)
-가장 오랫동안 주기억장치에 있던 페이지 중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의 교체를 방지하기 위한 기법으로 FIFO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
SCR
(Second Chance Replacement)
* 지역성(Locality)
-최근 사용되었던 기억장소들이 집중적으로 엑세스하는 현상. 참조했던 메모리는 빠른 시간에 다시 참조될 확률이 높은 특성
시간(Temporal) 지역성
-프로세스 실행 시 일정 위치의 페이지를 집중적으로 액세스하는 현상. 참조된 메모리 근처의 메모리를 참조하는 특성
공간(Spatial) 지역성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액세스 되는 현상. 프로그램 내의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구성된 특성. 공간 지역성에 편입되어 설명되기도 함
순차(Sequential) 지역성
-프로세스 상태
생성 -> 준비 -> 실행 -> 대기(-> 준비) -> 완료(종료)
* 프로세스 상태 전이
-준비 상태에 있는 여러 프로세스(Ready List) 중 실행될 프로세스를 선정(스케줄링)하여 CPU를 할당 -> 문맥교환 발생.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에서 실행 상태로 전이
디스패치
(Dispatch)
-CPU를 할당받은 프로세스는 지정된 시간이 초과하면 스케줄러에 의해 PCB 저장, CPU 반납 후 다시 준비 상태로 전이됨. 프로세스는 실행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전이됨. 타임 슬라이스 만료, 선점 시 타임아웃 발생
타이머 런 아웃
(=할당 시간 초과)
-실행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가 지정된 할당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입출력이나 기타 사건이 발생하면 CPU를 스스로 반납하고 입출력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전이됨. 프로세스는 실행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이. 즉시 실행 불가능한 시스템 콜, I/O 작업 시작, 프로세스간 통신 시 발생
블록
(=입출력 발생)
-어느 순간에 입출력이 종료되면 대기 상태의 프로세스에게 입출력 종료 사실을 wait & signal 등에 알려주고, 준비 상태로 전이됨. 프로세스는 대기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전이
웨이크 업
(=깨움)
* 프로세스 스케줄링 유형
(선점형 스케줄링 알고리즘 유형)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일정 시간만큼만 처리
라운드 로빈
(RR; Round Robin)
-남은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부터 처리
SRT
(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작업들을 여러 종류 그룹으로 분할, 여러 개의 큐를 이용하여 상위단계 작업에 의한 하위단계 작업이 선점 당하는 스케줄링 기법
다단계 큐
(MLQ; Milti Level Queue)
-FCFS와 RR 스케줄링 기법을 혼합한 것으로, 새로운 프로세스는 높은 우선순위, 프로세스의 실행시간이 길어질수록 점점 낮은 우선순위 큐로 이동하고 마지막 단계는 라운드 로빈 방식을 적용하는 스케줄링 기법
다단계 피드백 큐
(MLFQ; Multi Level Feedback Queue)
(비선점형 스케줄링 알고리즘 유형)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 먼저 처리. 프로세스가 대기 큐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CPU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기법
FCFS
(First Come First Service)
-처리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부터 처리. 프로세스가 도착하는 시점에 따라 그 당시 가장 작은 서비스 시간을 갖는 프로세스가 종료 시까지 자원을 점유하는 스케줄링 기법. 준비 큐 작업 중 가장 짧은 작업부터 수행, 평균 대기 시간 최소. CPU 요구 시간이 긴 작업과 짧은 작업 간의 불평등이 심하여, CPU 요구 시간이 긴 프로세스는 기아 현상 발생
SJF
(Shortest Job First)
-짧은 작업시간이면서 대기시간이 긴 프로세스부터 처리. 대기 중인 프로세스 중 현재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을 선택하는 스케줄링 기법. SJF의 약점인 기아 현상을 보완한 기법으로 긴 작업과 짧은 작업 간의 불평등 완화
HRN
(Highest Response Ratio Next)
-프로세스별로 우선순위가 주어지고, 우선순위에 따라 CPU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기법. 동일 순위는 FCFS
우선순위
(Priority)
-작업들이 명시된 시간이나 기한 내에 완료되도록 계획하는 스케줄링 기법
기한부
(Deadline)
* 교착생태(Deadlock) 발생 조건
-프로세스가 자원을 배타적으로 점유하여 다른 프로세스가 그 자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
상호 배제
(Mutual Exclusive)
-한 프로세스가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또 다른 자원을 요청하여 대기하고 있는 상태
점유와 대기
(Hold & Wait)
-한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에 대해 다른 프로세스가 선점할 수 없고, 오직 점유한 프로세스만이 해제 가능한 상태
비선점
(Non Preemption)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 간 자원의 점유와 대기가 하나의 원형을 구성한 상태
환형 대기
(Circular Wait)
* 교착생태 해결 방법
-상호 배제를 제외한 나머지 교착상태 발생 조건을 위배(부정)하는 방안.
ex) 점유 자원 해제 후 새 자원 요청
예방
(Prevention)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요구만 수락(프로세스별 자원 최대요구량 확보)
ex) 은행가 알고리즘, Wound-Wait, Wait-Die
회피
(Avoidance)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 알고리즘 통해 교착 상태 검사
ex) 자원할당 그래프, Wait for Graph
발견
(Detection)
-교착상태가 없어질 때까지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Kill하여 제거, 희생자 선택해야 하고 기아 상태 발생
ex) 프로세스 Kill, 자원선점
복구
(Recovery)
* OSI 7계층
물.데.네.전.세.표.응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 원거리 통신망(WAN) 연결 기술
-통신 사업자가 사전에 계약을 체결한 송신자와 수신자끼리만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점대점 프로토콜(PPP), HDLC, SDLC, HNAS 프로토콜에 쓰임
전용 회선 방식
(Dedicated Line)
-물리적 전용선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달 경로가 정해진 후 동일 경로로만 전달되는 방식.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는 대역폭이 고정되고 안정적인 전송률을 확보할 수 있음. 점대점 프로토콜(PPP), ISDN 프로토콜에 쓰임
회선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
-전체 메시지를 각 노드가 수용할 수 있는 크기(패킷)로 잘라서 보내는 방식. X.25,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에 쓰임
패킷 교환 방식
(Packet Switching)
* 네트워크 장비
(1계층 장비)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로 보내거나, 하나의 네트워크로 수신된 정보를 여러 대의 컴퓨터로 송신하기 위한 장비
허브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신호가 약해지지 않고 컴퓨터로 수신되도록 하는 장비
리피터
(2계층 장비)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
브리지
-느린 전송속도의 브리지, 허브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출발지에서 들어온 프레임을 목적지 MAC 주소 기반으로 빠르게 전송시키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통신 장치
L2 스위치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가장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장치
NIC
(Network Interface Card)
-스위치 기능을 가진 허브. 대부분 사용되는 허브
스위칭 허브
(스위치 장비의 주요 기술요소)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을 구성하여 Broadcast Domain을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접속된 장비들의 성능향상 및 보안성 증대 효과가 있음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2개 이상의 스위치가 여러 경로로 연결될 때, 무한 루프 현상을 막기 위해서 우선순위에 따라 1개의 결로로만 통신하도록 하는 프로토콜
STP
(Spanning Tree Protocol)
(3계층 장비)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과 WAN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네트워킹 장비.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송시키는 장비
라우터
-프로토콜을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출입구 역할
게이트웨이
-3계층에서 네트워크 단위들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 IP 레이어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여 외부로 전송. 라우터와의 경계가 모호
L3 스위치
(4계층 장비)
-4계층에서 네트워크 단위들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 TCP/UDP 등 스위칭 수행. 앱 레이어에서 파악이 가능한 이메일 내용 등 정교한 로드 밸런싱 수행 불가. 4계층 정보인 TCP/UDP 포트번호를 분석하여 포워딩을 결정하고 QoS와 GLB/SLB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치
L4 스위치
* 프로토콜의 3요소(V)
구문, 의미, 타이밍
*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
-점대점 방식이나 다중방식의 통신에 사용되는 ISO에서 표준화한 동기식 비트 중심의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네트워크 분야에서 두 통신 노드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PPP
(Point-to-Point Protocol)
-프로토콜 처리를 간략하여 단순히 데이터 프레임들의 중계 기능과 다중화 기능만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속도의 향상 및 전송지연을 감소시킨 고속의 데이터 전송 기술
프레임 릴레이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 방식이다. 셀이라 부르는 고정 길이 패킷을 이용하여 처리가 단순하고 고속망에 적합하며, 연속적으로 셀을 보낼 때 다중화를 하지 않고 셀단위로 동기가 이루어지지만 경우에 따라 동기식 시간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기도 한다. 가상 채널 (Virtual Channel) 기반의 연결 지향 서비스로 셀이라 부르는 고정 길이(53바이트) 패킷을 사용하며 통계적 다중화 방식을 이용한다.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에서 구현되는 터널링 기술 중 하나로 L2F와 PPTP가 결합된 프로토콜로 VPN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이용. IPsec을 함께 사용하면 PPTP보다 훨씬 안전하지만 보안보다 익명화에 더 적합
L2TP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오류 제어 방식의 종류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여 오류를 재전송 요구 없이 스스로 수정하는 방식. 오류 검출과 수정을 위한 방식에는 해밍 코드 방식과 상승 코드 방식이 있음
전진(순방향) 오류 수정
(FEC; Forward Error Correction)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송신 측에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 패리티 검사, CRC, 블록합 검사를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제어는 자동 반복 요청(ARQ)에 의해 이루어짐
후진(역방향) 오류 수정
(BEC; Backward Error Correction)
* 자동 반복 요청 방식(ARQ)의 종류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 측으로부터 ACK 및 NA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정보 전송을 중지하고 기다리는 방식
Stop-and-Wait ARQ 방식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NAK를 수신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방식
Go-back-N ARQ 방식
-연속적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방식
Selective Repeat ARQ 방식
*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송수신 간의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IP
(Internet Protocol)
-IP 네트워크상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물리 네트워크(MAC)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려주는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의 동작 과정에서의 전송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오류 정보를 전송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호스트 컴퓨터와 인접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IGMP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데이터 전송을 위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여러 경로 중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주는 라우터 간의 상호 통신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
-32비트, 8비트씩 4부분 나눈 10진수.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IPv4
-128비트, 16비트씩 8부분 나눈 16진수.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IPv6
* 라우팅 프로토콜
-최소 Hop count를 파악하여 라우팅하는 프로토콜이다. 거리와 방향으로 길을 찾아가는 Distance Vector 다이나믹 프로토콜이다. 최단거리 즉, Hop count가 적은 경로를 택하여 라우팅하는 프로토콜로 Routing Table에 인접 라우터 정보를 저장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최대 Hop count는 15로 거리가 짧기 때문에 IGP로 많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이다.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대표적인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인터넷에서 연결된 링크의 상태를 감시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단일 자율 시스템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배포하는 데 사용되는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이다. 모든 대상에 도달하기 위한 최단 경로를 구축하고 계산하며 최단 경로는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서로 다른 자율 시스템(AS)의 라우터 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데 사용되는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EGP)이다. 각 목적지에 대한 전체 경로가 포함되며, 다른 시스템과 교환하는 네트워크 도달 가능성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네트워크 도달 가능성 정보를 사용하여 AS 연결 그래프를 구성하며, 이를 통해 라우팅 루프를 제거하고 AS 수준에서 정책 결정을 실행할 수 있다.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전송 계층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 전송 계층에 위치하면서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트라넷,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옥텟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비연결성이고, 신뢰성이 없으며,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UDP
(User Datagram Protocol)
* 세션 계층 프로토콜
-원격 프로시저 호출이라고 불리며, 별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코딩 없이 다른 주소 공간에서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 간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RPC
(Remote Procedure Call)
-응용계층의 앱 프로그램에게 API를 제공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NetBIOS
(Network Basic Input/Output System)
* 응용 계층 프로토콜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80번 포트 사용
HTTP
(HyperText trnasfer Protocol)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21번 포트 사용
FTP
(File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TCP 포트 번호 25번을 사용하여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 25번 포트 사용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응용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 중 하나로, 원격 서버로부터 TCP/IP 연결을 통해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110번 포트 사용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원격 서버로부터 TCP/IP 연결을 통해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143번 포트 사용
IMAP
(Internet Messaging Access Protocol)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에서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23번 포트 사용
Telnet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원격 명령 실행, 파일 복사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또는 이를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이다. 데이터 암호화와 강력한 인증 방법으로 보안성이 낮은 네트워크에서도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다. 키(Key)를 통한 인증 방법으로 사용하려면 사전에 클라이언트의 공개키를 서버에 등록해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SSH
(Secure Shell)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라우터나 허브 등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며,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내는 데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161번 포트 사용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패킷 교환 방식의 종류
-연결 경로를 확립하지 않고 각각의 패킷을 순서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비연결형 교환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
-패킷이 전송되기 전에 송-수신 스테이션 간의 논리적인 통신 경로를 미리 설정하는 방식. 연결형 교환 방식
가상 회선 방식
-네트워크 장치를 필요로하지 않고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특징이 있으며 응용 분야로는 긴급 구조, 긴급 회의, 전쟁터에서의 군사 네트워크에 활용되는 네트워크
애드 혹 네트워크
* 스토리지 시스템 유형
-하드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를 호스트 버스 어댑터에 직접 연결하는 스토리지. 저장 장치와 호스트 기기 사이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있지 말아야 하고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기술
DAS
(Direct Attached Storage)
-서버와 저장 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스토리지. 구성 설정이 간편하며 별도의 운영 체제를 가진 서버 한 곳에서 파일을 관리하기 때문에 서버 간에 스토리지 및 파일 공유가 용이. 저장 장치와 서버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에 접속하고, 파일 단위로 관리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와 스토리지를 저장 장치 전용 네트워크로 상호 구성하여 고가용성, 고성능, 융통성, 확장성을 보장하고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관리하는 스토리지. DAS의 빠른 처리와 NAS의 스토리지 공유 방식의 정점을 합친 방식으로, 광케이블 및 광 채널 스위치를 통해 근거리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 공유가 가능한 기술
SAN
(Storage Area Network)
*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
-패리티(오류 검출 기능)가 없는 스트라이핑된 세트로 구성되는 방식. 2개 디스트 필요
RAID 0
-패리티(오류 검출 기능)가 없는 미러링된 세트로 구성되는 방식. 2개 디스크 필요
RAID 1
-오류정정부호(ECC)를 기록하는 전용의 하드 디스크를 이용해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식
RAID 2
-데이터는 모든 디스크에 바이트 단위의 스트라이핑된 세트로 구성되고, 패리티 정보는 별도의 전용 디스크에 저장되는 방식. 3개 디스크 필요
RAID 3
-데이터는 모든 디스크에 블록 단위의 스트라이핑된 세트로 구성되고, 패리티 정보를 별도의 전용 디스크에 저장되는 방식. 3개 디스크 필요
RAID 4
-패리티가 배분되는 스트라이핑된 세트로 구성된 방식. 3개 디스크 필요
RAID 5
-패리티가 배분되는 스트라이핑된 세트로 구성된 방식. 4개 디스크 필요
RAID 6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상세 단어 암기 모음집 - [12단원 – 제품 SW 패키징] (0) | 2025.03.10 |
---|---|
정보처리기사 실기 상세 단어 암기 모음집 - [11단원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2부 (1) | 2025.03.10 |
정보처리기사 실기 상세 단어 암기 모음집 - [10단원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0) | 2025.03.07 |
정보처리기사 실기 상세 단어 암기 모음집 - [9단원 – SW 개발 보안 구축] - 2부 (0) | 2025.03.04 |
정보처리기사 실기 상세 단어 암기 모음집 - [9단원 – SW 개발 보안 구축] - 1부 (1) | 2025.03.04 |